시와 노래와 할배 자세히보기

전체 글 1976

[나민애의 시깃든 삶] 탕약 - 백석(1912∼1996) [동아/ 24-10-12]

탕약 - 백석(1912∼1996)눈이 오는데토방에서는 질화로 우에 곱돌탕관에 약이 끓는다삼에 숙변에 목단에 백복령에 산약에 택사의 몸을 보한다는 육미탕이다약탕관에서는 김이 오르며 달큼한 구수한 향기로운 내음새가 나고 약이 끓는 소리는 삐삐 즐거웁기도 하다그리고 다 달인 약을 하이얀 약사발에 밭어놓은 것은아득하니 깜하야 만년 녯적이 들은 듯한데나는 두 손으로 고이 약그릇을 들고 이 약을 내인 녯사람들을 생각하노라면내 마음은 끝없이 고요하고 또 맑어진다나는 시를 공부하고 아버지는 시를 쓰기 때문에 우리는 서로 어떤 시가 좋은가 토론하곤 한다. 그중에서도 백석은 잃어버린 보물, 어마어마하게 아름다운 시인의 이름이다. 아버지는 ‘흰 바람벽이 있어’와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가 좋다고 한다. 나는 ‘북방에서’..

[나민애의 시깃든삶] 계속 - 안미옥(1984~ ) [동아/ 2024-06-15]

계속- 안미옥(1984∼) 선생님 제 영혼은 나무예요제 꿈은 언젠가 나무가 되는 것이에요아이가 퉁퉁 부은 얼굴로주저앉아 있다가일어나 교실 밖으로 나간다영혼이란 말은 언제부터 있어서너는 나무의 영혼이 되어버렸나영혼은 그림자보다 흐리고영혼은 생활이 없고영혼은 떠도는 것에 지쳤다영혼은 다정한 말이 듣고 싶다영혼은 무너지는 집 아래 깔린 나무의 몸통영혼은 자라서영혼은 벗어날 수 있는 곳영혼은 찢고 부서지고 아물면서영혼은 있다.(하략)6월이 오면 소개하고 싶어 아껴둔 시집이 있다. ‘저는 많이 보고 있어요’는 겨울에 발간되었지만 그 안에 여름의 시가 여럿 된다. 6월에는 6월의 시를 읽어야 한다는 분께 추천드린다.사실 6월 타령은 시를 읽을 핑계일 뿐이다. 안미옥 시인의 작품에서 가장 빛나는 부분은 여름이 아니다..

[나민애의 시깃든삶] 내 울음소리 - 조오현(1932∼2018) [동아/ 2024-06-01]

내 울음소리 - 조오현(1932∼2018)한나절은 숲속에서새 울음소리를 듣고반나절은 바닷가에서해조음 소리를 듣습니다언제쯤 내 울음소리를내가 듣게 되겠습니까.‘내 울음소리’는 현대 시조이다. ‘시조’라는 말을 듣고 나면 조금 더 보인다. ‘한나절은 숲속에서’, ‘반나절은 바닷가에서’ 이런 표현들이 리듬감 있게 읽혔던 이유가 보인다. ‘언제쯤’이라는 세 글자가 종장의 첫 글자수를 지킨 결과임도 보인다.‘내 울음소리’를 쓴 사람은 시인이면서 스님이고 구도자였다. 이 말을 듣고 나면 조금 더 이해할 수 있다. 시에 등장하는 ‘숲’의 자리에 스님의 암자가 있던 설악산을 놓을 수 있다. ‘바닷가’라는 단어를 읽으며 동해안을 연상할 수도 있다. 결정적으로는 마지막 구절을 깊이 이해하게 된다.사실, 초장과 중장만 읽으..

[나민애의 시깃든삶] 먼 데, 그 먼 데를 향하여 - 신경림(1936∼2024) [동아/ 2024-05-25]

먼 데, 그 먼 데를 향하여 - 신경림(1936∼2024)    (…)사람 사는 곳어디인들 크게 다르랴,아내 닮은 사람과 사랑을 하고자식 닮은 사람들과 아옹다옹 싸우다가,문득 고개를 들고 보니,매화꽃 피고 지기 어언 십년이다.어쩌면 나는 내가 기껏 떠났던 집으로되돌아온 것은 아닐까.아니, 당초 집을 떠난 일이 없는지도 모르지.그래서 다시,아주 먼 데.말도 통하지 않는, 다시 돌아올 수 없는,그 먼 데까지 가자고.나는 집을 나온다.걷고 타고, 산을 넘고 강을 건너고,몇날 몇밤을 지나서.시인의 이름을 알기도 전에 ‘가난한 사랑노래’부터 알았다. 중학생 때였는데, ‘왜 모르겠는가’ 묻는 시 앞에서 이 시인은 꼭 알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시인의 이름에 익숙해지기 전에 ‘목계장터’부터 배웠다. 나는 가보지도 않..

[나민애 시깃든삶] 호각 - 남지은 (1988~ ) [2024-05-11]

호각 - 남지은 (1988~ ) 새소리는 어디서 왔을까새도 숲도 없는 이곳에 새소리가 들려왔다면내 안에서 네 안에서 그도 아니면신이 있다면 새소리로 왔을까늪 같은 잠 속에서 사람들을 건져내고아침이면 문가로 달아나는반복되는 장난은빛 깃털만이 신의 화답으로 놓인다면 그도 신이라 부를까내가 새소리를 듣는다면잠결에도 아기 이마를 짚는 손과손을 얹을 때 자라는 조그만 그늘에도내려앉는포개지는 글자 (후략)내가 좋아하는 한 시인이 예전에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새로 등단한 시인의 첫 번째 시집은 꼭 챙겨 본다고. 그렇다면 그는 남지은 시인의 신간도 읽었겠다 싶다. 시인의 첫 시집은 단 한 번뿐이다. 딱 시인의 수만큼만 존재한다. 그 귀한 것을 읽으며 당신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내가 접어놓은 페이지는 ‘호각’이다..

[유희경의 시:선] 꽃비 같은 하루 [문화/ 2024-04-17]

택배, 사람 - 박연준 도착과 동시에 떠나야 하는 한 송이 누군가 그를 세고 또 센다 건네기 위해 하루를 다 쓴 한 송이 받으세요 받으시고 영원히, 받으소서 우리와 우리 아닌 것 사이에 낀 한 송이 지나쳤지? 지나쳤지 셀 수 없는, 여름이 오면 좋겠다 - 박연준 시집 ‘사랑이 죽었는지 가서 보고 오렴’) 꽃비 같은 하루 갈래? 가자. 간단하게 주고받은 다음 새벽부터 아버지를 뵈러 간다. 세상을 떠나신 지 벌써 스무 해. 산소에 가도 아버지는 없는데, 알고도 간다. 동생과 매부와 그들의 아이들과 나와 아내와 어머니가 한 차에 실려 아버지께 간다. 봄이 왔으니까. 멀다면 멀고 가깝다면 가까운 길은 참 지루하다. 그러니 온갖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 그간 있었던 일, 날씨와 경제 걱정. 이야깃거리는 한도 없다...

[유희경의 시:선] 꿈을 가진 마음 [문화/ 2024-04-03]

꿈틀거리다 - 김승희 어느 아픈 날 밤중에 가슴에서 심장이 꿈틀꿈틀할 때도 괜찮아 꿈이 있으니까 꿈틀꿈틀하는 거야 꿈꾸는 것은 아픈 것 토마토 어금니를 꽉 깨물고 꿈틀꿈틀 바닥을 네발로 기어가는 인간의 마지막 마음 (김승희 시집 ‘한 사람의 노래가 온 거리에 노래를’) 꿈을 가진 마음 서점의 일상을 요약하자면 ‘고요한 가운데 번잡함’일 것이다. 어떻게 지났는지도 모르게 하루를 보내고 밤이 오면 풀려버린 운동화 끈처럼 맥을 놓아버린 스스로를 발견하게 된다. 그즈음 서점을 찾아오는 사람들에게는 애틋한 동질감을 느낀다. 김종삼의 시 ‘묵화’ 속 할머니와 소처럼 서로의 부은 발잔등을 위로하고 싶어진다. 그날 밤 찾아온 학생은 문 닫을 시간을 넘겨서까지 책장 앞을 서성였다. 잠시 후 계산대 앞에 다가선 그는 시집..

[문태준 따뜻한시] 돌멩이들 - 장석남(1965~) [조선/ 24-04-01]

돌멩이들 - 장석남(1965~ ) 바닷소리 새까만 돌멩이 너덧 알을 주워다 책상 위에 풀어놓고 읽던 책 갈피에도 끼워두고 세간 기울어진 자리도 괴곤 했다 잠 아니 오는 밤에는 나머지 것들 물끄러미 치어다도 보다가 맨 처음 이 돌멩이들 있던 자리까지를 궁금해하노라면, 구름 지나는 그림자에 귀 먹먹해지는 어느 겨울날 오후 혼자 매인 늦둥이 송아지 눈매에 얹힌 낮달처럼 저나 나나 살아간다는 것이, 이렇듯 외따로 있다는 것이, 바닷가에서 주워 온 돌이 몇 개 있다. 까만 돌의 표면에는 물결무늬가 흐르고 파도 소리가 들려왔을 것이다. 몽돌이며 모서리가 덜 깎인 돌, 그리고 조각돌도 있었을 것이다. 시인은 그 돌로 책장을 눌러놓거나 집 안 살림에 쓰는 물건의 평형을 맞추려고 아래를 받치기도 한다. 그러다 돌이 최초..

[유희경의 시:선] 연하장 쓰는 일 [문화/ 2023-12-27]

‘당신의 편지가 오네 오고 있네 내가 그것을 소리 내어 읽으면 당신의 혀가 내 귓불에 닿고 당신의 부드러운 혀가 내 귀 안에 이미 있네 당신 편지는 오고 있네 오네 동구 밖까지 왔을까 잡화점 앞을 무사히 지났을까’ - 장이지 ‘기대’(시집 ‘편지의 시대’) 연하장 쓰는 일 대형 서점에 들렀다가, 즐비한 크리스마스카드나 연하장에 새삼 놀라며 깨닫는 세밑은 즐겁다. 아직도 사람과 사람 사이가 있다. 그사이 차곡차곡 손 글씨로 눌러 담는 안부와 바람의 인사들이 가득할 수 있다니. 어쩐지 안심이다. 덕분에 몇 장 카드를 마련했다. 나도 카드를 써야지. 근사한 선물은 힘들지만 카드 정도의 사치쯤은 호기롭게 누려 보기로 한다. 이 사람 저 사람 떠올리며 고르다 보니 손에 쥐게 된 카드의 수가 너무 많다. 어떤 식으..

[최영미의 어떤 시] 올드랭사인(Auld Lang Syne) [동아/ 2023-12-25]

올드랭사인(Auld Lang Syne) - 로버트 번스(Robert Burns, 1759~1796) 오래된 친구들을 잊어야 하나, 다시는 마음에 떠올리지 말아야 하나? 그토록 오래된 친구들을 어떻게 잊을 수 있을까? 흘러간 옛날을 위하여, 그대여 (…) 우리 다정한 축배를 들자, 흘러간 옛날을 위하여. 그래 너는 너의 술을 사고 나는 내 술을 살 거야! 우리 다정한 축배를 들자, 흘러간 옛날을 위하여. 우리 둘은 언덕을 뛰어다니며, 아름다운 데이지 꽃을 꺾었지: 우리는 발이 닳도록 돌아다녔지(…) 로버트 번스가 스코틀랜드의 민요를 채록해 곡을 붙인 ‘올드랭사인’은 오늘날 세계인이 애창하는 노래가 되었다. 1896년 배재학당 학생들이 올드랭사인 선율에 애국가 가사를 붙여 부른 뒤 독립운동가들 사이에 국가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