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병점 ― 최정례(1955∼) [동아/ 2019-08-10]
병점 ― 최정례(1955∼) 병점엔 조그만 기차역 있다 검은 자갈돌 밟고 철도원 아버지 걸어 오신다 철길 가에 맨드라미 맨드라미 있었다 어디서 얼룩 수탉 울었다 병점엔 떡집 있었다 우리 어머니 날 배고 입덧 심할 때 병점 떡집서 떡 한 점 떼어먹었다 머리에 인 콩 한 자루 내려놓고 또 한 점 베어먹었다 내 살은 병점떡 한 점이다 병점은 내 살점이다 병점 철길 가에 맨드라미는 나다 내 언니다 내 동생이다 새마을 특급 열차가 지나갈 때 꾀죄죄한 맨드라미 깜짝 놀라 자빠졌다 지금 병점엔 떡집 없다 우리 언니는 죽었고 수원, 오산, 삼남으로 가는 길은 여기서 헤어져 끝없이 갔다 |
족보는 단순한 문서가 아니다. 그것은 나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예전에는 그것이 버젓이 존재했고 행세했다. 그런데 지금, 많은 경우 족보는 있어도 없다. 내 관계의 네트워크는 가족관계증명서로 축소되었다. 공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처지다. 나를 기억하는 이는 몇 사람 되지 않는다. 조금 과장하자면 이 시대의 족보는 이제 ‘내 안’에만 있다. 그것은 나와 함께 쓰였다가 나와 함께 사라질 것이다.
우리는 끊임없이 확인한다. 내 의미는 무엇일까? 아무도 대답해 주지 않는 슬프고 외로운 질문이다. 그런데 이 질문을 하지 않고는 살 수가 없다. 우리 모두는 자기 족보를 혼자서 써 내려가고 혼자서 읽어본다. 당신이 아니라고, 나는 그런 기록 따위 없이 이미 충만하다고 대답하시기 전에 이 시를 읽어드리고 싶다.
시인은 경기 병점에 살았다. 아버지는 철도원이었다. 사실 그대로다. 이것은 한 편의 시이기 전에 우리 시대 외로운 족보 이야기이다. 병점의 떡과 맨드라미와 언니와 동생과 길 모두 한 사람의 혈관 속에 개인 역사로 살아남아 있다. 다른 이들에게는 하나도 중요하지 않지만, 내 핏줄을 꽉 채우고 있는 이 위대한 기록. 나를 기억해줄 사람이 너무 적어져, 이제 나만이 나의 유일한 목격자이고 마지막 친구인 듯한 세상이다. 당신의 병점은 어디였는지 물어보고 싶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2-1 김수호-동아행복시 > 나민애♧시깃든삶-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여행 - 이진명(1955∼ ) [동아/ 2019-08-24] (0) | 2019.08.24 |
---|---|
[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종소리 - 오장환(1918∼1951) [동아/ 2019-08-17] (0) | 2019.08.17 |
[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소 1 - 권정생(1937∼2007) [동아/ 2019-08-03] (0) | 2019.08.03 |
[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15년 - 김준태(1948∼) [동아/ 2019-07-27] (0) | 2019.07.27 |
[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 강 ― 황인숙(1958∼) [동아/ 2019-07-20] (0) | 2019.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