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노래와 할배 자세히보기

0-0 응접실-세상이야기/김수호★세상풍정

戰後 프랑스 지식인 사회도 兩分 - 김태훈 기자 [조선/ 2018.01.24]

설지선 2018. 1. 24. 11:28

[전문기자의 '뉴스 저격']
카뮈 "정의에 따라 배신자 엄벌하라",
모리악 "敵이 한 일, 우린 하지 말자"

戰後 프랑스 지식인 사회도 兩分 - 김태훈 기자 [조선/ 2018.01.24]

과거사 청산을 둘러싼 갈등은 전후(戰後) 프랑스 지식인 사회를 양분했다.

 

실존주의 철학자 J 사르트르는 "작가는 첩첩산중에 들어가 있어도 사람들의 시선을 피할 수 없고 현실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며 강력 처벌을 주장했다.

반면 작가 조르주 뒤아멜은 "조국을 배반하고 형제를 밀고한 경우가 아니라면 바보 같거나 나약해서 지은 죄를 벌하지 말자"고 관용을 호소했다.

 

당대 최고 작가로 노벨문학상을 각각 받은 알베르 카뮈와 프랑수아 모리악도 상반된 입장에 섰다.

모리악은 1944년 9월부터 일간신문 '르 피가로'에 실은 사설에서 "국민화합 차원에서 그리스도의 자비를 베풀자"며 "적(敵)이 우리에게 행한 것을 우리는 하지 말자. 인간으로서 실수할 권리를 인정하자"고 했다.

반면 카뮈는 "배신자와 반역자를 인간의 정의(正義)에 따라 엄벌하라"며 모리악의 주장을 공박했다.

카뮈는 그러나 이듬해 1월 언론인이자 동료 작가인 로베르 브라지약이 부역 혐의로 사형을 선고받자 갑자기 태도를 바꿨다. 시인 폴 발레리, 비평가 장 폴랑 등 58명과 공동 서명한 사면 요청서를 드골 임시정부에 제출한 것. 브라지약이 총살당하자 신문 '투쟁'에 "숙청이라는 낱말 자체가 이제 역겨울 정도다. 사태가 추악하게 발전했다"는 사설을 실었다.

반면 시몬 드 보부아르는 "브리지약은 게슈타포에 부역했다"며 강경론을 폈다.

 

우파 사회학자인 레이몽 아롱은 "숙청은 적법한 형식을 빌린 혁명 행위였기에 처음부터 혁명가도 법치주의자도 만족시킬 수 없었다"는 말로 과거사 청산의 근본적 한계를 지적했다.